콘텐츠로 건너뛰기

나스 하드 복제 – 베드섹터 발생 시 하드 복제 방법

  • 기준

| MBOX 클론 기능을 활용한 나스 하드 복제

나스를 10년 가까이 운영하며 시놀로지 케이스 고장에 의한 하드 마이그레이션 시 손상된 하드 교체, 나스용 하드 고장에 이한 하드 교체 작업까지 평상시 사용할 일 없는 hdd 독을 활용하여 기존 데이터를 새로운 나스용 하드로 옮겨야 하는 일이 발생한다.

​자주 발생하는 일이 아니기 때문에 hdd 도킹스테이션의 클론 기능을 사용할 일이 없어서 동일한 제품 사용기 리뷰를 검색해
보았는데 잘못된 리뷰가 대부분이다.

심지어는 클론 기능을 동영상까지 올리며 설명한 리뷰중에는 hdd 복제를 실패했다며 원인을 알 수 없다는 글을 올려 놓기도
하고 성공한 글엔 클론 기능 동작 방법이 없다.ㅡㅡ;;

​hdd 도킹스테이션은 next 제품 이후 사무실 PC와 깔맞춤 하느라 MBOX를 구매했는데 쇼핑몰의 상품 상세 설명 마저도 클론
기능이 있다는 설명만 있지 어떻게 사용하는지는 설명이 되어 있지 않다.

​3년전 시놀로지 전원 손상에 의해 나스용 하드를 날려 먹었을 때 간신히 손상되지 않은 섹터의 데이터를 복구했었는데
이번엔 스마트폰의 사진을 서버로 업로드 하는 과정에서 하드가 손상되었다.

​불량 섹터가 있는 기존 hdd의 데이터를 새로 구매한 hdd로 옮겨야 하는 상황

​기존 hdd는 크래들 A(HDD A)에 장착하고 복제 데이터를 저장할 새로 산 hdd는 크래들 B(HDD B)에 장착한다. 크래들 B에 장착하는 hdd는 크래들 A에 장착한 hdd와 용량이 같거나 커야하며 불량 섹터가 있으면 안된다.
※ 불량 섹터가 있는 하드를 복사하면 멀쩡한 하드도 복제 후 불량 섹터가 감지된다.

나스 하드 복제

hdd 도킹스테이션의 앞쪽이 크래들 A, 뒷쪽이 크래들 B로 도킹스테이션 윗면에 작은 글자로 각인되어 있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hdd를 복제하기 위해 클론 기능을 사용하려면 사진 처럼 hdd를 장착 후 hdd독의 전원을 켜준다. 클론
기능을 사용할 때는 PC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필요가 없으므로 usb케이블은 PC와 연결되어 있을 필요 없다.

​원본 hdd와 복제될 hdd를 이상 없이 장착 후 전원을 켰다면 hdd 읽는 소리를 감지할 수 있다.

​사진은 나스용 hdd를 복제하기 위해 장착했으며 마찬가지로 나스용 hdd 읽는 소리가 정상적으로 확인된 후 클론 기능을
사용 하길 권장한다.
ssd도 복제가 가능하며 ssd는 읽는 소리가 들리지 않으니 전원을 켜고 hdd독이 ssd를 인식하는 시간, 약 10초 정도 후에 클론
기능을 사용하면 될 것 같다.

hdd를 복제할 준비가 되었으면 hdd 독 앞면의 CLONE 버튼을 3초 이상 길게 누르고 있으며 녹색 led가 켜진다.
대부분의 리뷰어들이 3초 이상 길게 누르고 있으면 복제가 되는 것 처럼 설명하고 있는데 이 상태로 두면 잠시 후 녹색 led가
꺼지게 된다. 복제 기능이 작동되고 있지 않다는 뜻이다.

​CLONE 버튼을 3초 이상 길게 누르면 복제 기능 준비 상태가 된다. COLNE 녹색 led에 불이 들어옹션 손가락을 잠시 떼었다가
한 번만 짧게 CLONE 버튼을 다시 눌러주면 복제가 시작된다. 복제중엔 녹색 led가 정신없이 깜빡거리는데 정상적으로
복제중이란 표시이니 안심하고 기다리면 된다.

MBOX 구형 제품에는 녹색 led 부분이 없을 수 있다.

​복제를 성공한 리뷰글을 보니 복제중인 상태를 컬러로 확인할 수 있다고 하니 참가하길‥
3테라의 나스용 hdd를 9시부터 복제 시작‥.

3테라를 복제하는데 48시간이 소요되었다. 녹색 led가 꺼지면 복제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된다.

대용량 hdd는 클론으로 복제할게 못 되는듯… 발열도 심하기 때문에 선풍이로 열 식혀주며 복제 완료!
오래전 기억을 더듬어서 복제 기능 활성화 및 실행 후 기다리면서 짬나는 시간에 리뷰 몇 자 올려둔다.

​파일이 복제되는 크래들 B에 데이터가 있는 경우 필히 다른 저장매체나 PC에 백업해 두길‥
크래들 B에 장착한 hdd에는 크래들 A에 장착한 데이터가 옮겨지며 기존 데이터는 모두 사라지니 주의해야 한다.

​주의사항! 3테라 hdd를 4테라 hdd로 복제 후 4테라 hdd를 나스에 장착하면 3테라로 인식된다.

hdd 관리에서 나머지 1테라를 잡아주면 되긴 하겠지만 가능하면 hdd 복제 시 동일한 용량이 hdd 사용을 권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