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정전 후 시놀로지 나스 접속 불가 오류 – 정적 IP 변경 시 포트포워딩 재설정

  • 기준

정전 시간을 미리 확인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 시놀로지 전원을 꺼두는 것이 가장 안전하지만 예상하지 못했던 정전으로 인해 시놀로지 외부 접속이 되지 않는 경우 몇 가지 원인을 유추해 볼 수 있습니다.

  1. 시놀로지 시스템 파일 손상
  2. 나스하드 손상
  3. 시놀로지 정적 아이피 변경

시놀로지 정적 아이피가 변경된 경우가 가장 흔하게 발생합니다. 시놀로지 나스서버는 UPS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정전 시 바로 전원이 꺼지지 않고 비프음이 발생하지만 사양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나스서버의 전원이 꺼지는 경우의 데미지도 다릅니다. 성능이 낮은 저가 나스서버를 사용했을 때 나스용 하드가 손상되어 복구했던 경험이 있으나 랙타입 나스서버를 사용 후 2번의 정전을 겪으면서 나스용 하드가 손상된 경우는 없었으나 외부 접속이 되지 않아서 라우터 포트포워딩을 재설정 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시놀로지 시스템 파일 손상 시 복구 기능을 활용하면 되지만 나스하드 손상의 경우 손상된 섹터의 파일을 복구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베드섹터 발생 시 하드 복구 방법

정적 아이피가 변경되더라도 위와 외부에서 접속이 되지 않기 때문에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시놀로지 나스서버가 정상적으로 구동중이라도 정적 아이피가 변경되면 외부 접속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시놀로지 서버의 내부 네트워크로 접속해야 합니다.

정전으로 내부 IP가 변경된 경우 어시스턴트로 접속

시놀로지 접속 IP가 변경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는 접속이 안되지만 시놀로지 어시스턴트 실행 후 검색된 나스서버 IP 클릭 후 DMS 접속이 가능합니다. 시놀로지 어시스턴트는 시놀로지 다운로드 센터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검색된 나스서버의 IP를 확인해 보면 정전 전에 설정되어 있는 IP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SSL 인증서가 설치되어 있더라도 정적 아이피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경우 직접 IP를 입력하여 접속하면 주의 요함이 노출되지만 어시스턴트를 활용해 DSM으로 접속하는데는 문제가 없습니다.

시놀로지 제어판의 외부 엑세스 설정

DSM 에서 제어판 창을 띄운 후 외부 엑세스의 고급 탭에서 호스트 이름 또는 정적 IP가 나스서버 IP와 동일하게 되어 있는지 확인 후 다르게 되어 있다면 정적 IP를 DSM 접속 IP와 동일하게 입력해 주면 됩니다. (DSM 포트는 기존 설정대로 유지하거나 변경해도 무방합니다.)

공유기 포트포워딩 설정 변경

정적 아이피가 변경되었기 때문에 공유기에솓 외부 접속이 가능하도록 포트포워딩을 변경해야 합니다.

공유기 포트포워딩을 변경하기 위해서 공유기가 설치되어 있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있는 PC의 브라우저에서 192.168.1.1을 입력해 공유기 설정 화면 접속 후 로그인합니다.


기존에 등록한 포트포워딩 정보를 삭제하면서 새로 변경된 로컬 IP를 입력해 주면 됩니다. ASUS의 경우 기존에 입력된 포트포워딩 정보 우측에서 마이너스(-) 아이콘을 클릭하면 해당 포트 설정이 삭제되며 플러스(+) 아이콘 클릭 후 포트 정보 입력 필드가 추가됩니다.

플러스(+) 클릭 후 새로 생성된 포트 정보 입력 필드에 기존 정보를 복붙하면서 변경된 로컬 아이피만 다르게 입력 후 기존 포트 정보 삭제, 신규로 입력된 포트 정보를 추가하면 쉽게 포트 포워딩 정보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변경된 포트포워딩 설정을 저장 후 브라우저 창에 DSM 접속 도메인 또는 아이피를 입력하면 이전처럼 정상적으로 로그인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포트포워딩 설정과 관련된 자세한 정보가 필요한 경우 앞서 등록한 포워딩 설정 화면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