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창업 후 목표를 상실하기 시작하는 시점 → 터닝포인트

  • 기준

| 목표를 상실하기 시작하는 시점

창업 후 장단기 사업 계획을 갖고 정진하다 보면 누구나 한번쯤 목표를 상실할 때가 온다.
사업성을 충분히 검토하고 시작한 일이더라도 슬럼프는 누구에게나 올 수 있다.

내가 가장 잘 하는 포지션의 일이 있는 반면에 어려운 포지션의 일이 있기 마련이다.
실무 경험이 많은 CEO는 사업 개발 단계 빛을 발할 수 있지만 시제품 오픈 후 마케팅을 해야 할 때 난관에 부딪히기 쉬우며
반대로 마케팅을 잘하는 CEO의 경우 시제품 개발 단계부터 일찍 슬럼프를 겪기도 한다.

​경쟁사가 없는 블루오션에 뛰어들더라도 대한민국 IT 업계 특성상 될만한 사업은 누구나 뛰어들어 치열한 경쟁을 하게 되는
레드오션이 되기 일쑤이다.

​시제품을 신선한 아이디어로 오픈하고 홍보를 시작 후 성과가 없다면 좌절하기 쉽다. 분명히 창업 단계에서 충분히 검토하고
괜찮은 사업을 시작했는데 막상 시제품 오픈 후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게 되면 창업 목표를 상실하고 전환점을 찾게 된다.

| 초기 사업계획서를 검토 후 창업 목표를 재정비 하자!

  • 어떤 이유로 창업을 다짐했는가?
  • 무엇을 이루기 위해 창업을 했는가?
  • 내가 가장 잘 하는 일은 무엇인가?
  • 내가 즐겁게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

사업계획서를 검토하면서 초기 창업 당시의 마인드를 되새길 필요가 있다.
잘못된 길을 가고 있다면 과감하게 전환이 필요하지만 잠시 슬럼프에 빠져서 마인드 컨트롤이 필요한 상황일 수도 있다.

​창업 후 3년 이내 좌절하는 케이스를 보면 많은 CEO들이 슬럼프를 이겨내지 못하고 포기하는 경우가 생긴다. 그리고 다시
직장 생활을 하더라도 창업의 미련을 쉽게 버리지는 못한다.

​슬럼프에 빠졌다면 창업 초기에 사업 분석을 잘 하지 못했거나 창업 초기와 다르게 시장이 급변했거나 내가 잘 하지 못하는
일을 수행하는 단계이거나 다양한 이유를 들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업을 시작할 때 예측하지 못했던 다양한 변수가 생길 수 밖에 없기 때문에 CEO는 이러한 변수를 뚫고 나갈 수
있는 마음가짐을 스스로 관리하고 해결 방안을 간구해야 한다.

| 목표를 상실하기 시작한 시점이 터닝포인트가 되기도 한다.

사업을 하면서 누구나 슬럼프를 겪는다.
​하지만 CEO의 선택에 따라 회사는 성장할 수 있는 터닝포인트가 되기도 하고 문을 닫는 시점이 되기도 한다.​

다양한 환경의 변화와 변수로 인해 슬럼프에 빠졌다면 초기 사업 목표와 마인드를 재정비하고 새로운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다.

​슬럼프가 오는 시기는 내가 가장 잘하는 일의 단계가 아닌 내가 가장 어려워하는 일의 단계에 처해져 있기 때문에 가장
어려워하는 일을 잘 처리하기 위해서 트레이닝하거나 좋은 파트너를 영입하여 현재의 상황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꾸준히
모색해야 한다.

​더 늦기 전에 도약할 수 있는 터닝포인트는 CEO의 마인드와 추진 전략에 의해 결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