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네이버 알고리즘 인위적 조작 의혹 조사

  • 기준
네이버

7월 2일, 방통위의 네이버 뉴스 검색 알고리즘 의혹 조사

7월 2일, 방송통신위원회가 최근 정치권에서 불거진 네이버 뉴스 검색 알고리즘 인위적 개입 의혹과 관련해 전기통신사업법상 금지행위 위반 여부 등에 대한 실태 점검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방통위가 포털 업체의 뉴스 알고리즘만을 대상으로 실태점검에 나섰습니다.

네이버는 이용자 소비 패턴에 따라 뉴스를 추천하는 인공지능 기반 포털 뉴스 알고리즘의 검토위원회를 구성해 운영하면서 언론사 인기도 지표를 인위적으로 적용하고 이를 통해 특정 언론사가 부각되거나 불리하게 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습니다.

전기통신사업법 제50조 및 동법 시행령 제42조는 전기통신서비스를 이용해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자에게 불합리하거나 차별적인 조건 및 제한을 부당하게 부과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방통위는 해당 규정 위반 여부를 점검했습니다.

지난달 28일, 국민의힘 박대출 정책위의장은 2일 최근 네이버의 뉴스 검색 알고리즘 인위적 개입 의혹이 제기된 것과 관련,해 “알고리즘 조작 여부에 대해 특정 세력의 외압이 있었는지, 가중치 조작이 있었는지 빠짐없이 진상을 가려야 한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검색 알고리즘 의혹 조사 진행 사항

전 정권 기간 중, 네이버 뉴스 검색의 기사 배치 순위를 정하는 알고리즘을 외압에 의해 네이버가 인위적으로 변경했다는 의혹이 확산할 기미를 보이고 있습니다.

방송통신위원회가 네이버에 대해 전기통신사업법상 금지행위 위반 여부 등에 대한 실태 점검에 나서기로 했으며 조작 정황이 확인되면 검찰 등에 형사고발을 진행할 방침입니다.

네이버의 알고리즘 조작 의혹이 검찰 수사 및 기소로까지 이어진다면 포털뉴스에 대한 신뢰도 타격이 불가피합니다.
네이버 측은 “외부 전문가 그룹으로 구성된 검토위원회를 통해 검토 과정을 투명하게 진행해왔다.” 고 반박하고 있으나 공교롭게도 네이버는 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성남시장이던 시절 각종 인허가 편의를 대가로 성남FC에 후원금 명목의 뇌물을 건넨 혐의로 본사 및 계열사 전직 대표가 기소돼 현재 재판을 받고 있습니다.

7월 4일, 검색 알고리즘 조작 사건의 진상 파악 촉구

7월 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여당 간사인 국민의힘 박성중 의원은 “네이버의 뉴스 검색 알고리즘을 편향되게 학습시켜 특정 언론사를 차별 및 배제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박 의원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네이버는 고작 200여개 검색키워드를 임의로 선정해 알고리즘을 엉터리로 학습시켰다”면서 “국민을 극단적 확증 편향으로 몰아붙였다”고 지적했습니다.

네이버는 “엉터리 알고리즘을 운영하면서 언론을 좌지우지하고,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한 것에 대해 엄중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며 “‘구글도 한다’는 식으로 국민을 기만하는 것을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다.